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.
- push X: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.
- pop: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- size: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empty: 스택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top: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입력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출력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'


풀이
자바로 코테를 준비하기로 결심하고 푼 첫 번째 문제라서 입출력을 익히는 게 조금 어려웠다. 스택 개념 자체는 원래 알고 있었지만 StringBuilder 나 BufferedReader, ParseInt 등 문법이 익숙하지 않아 구글링 하면서 풀었다..
정답 코드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int[] stack = new int[10001]; // stack 배열 선언
public static int size = 0; // 사이즈 초기화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 // 명령 수
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; // StringBuilder는 String과 다르게 변경이 가능하다.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String S = st.nextToken();
switch (S) {
case "push":
push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 // string을 int로 형변환 해준 후 push
break;
case "pop":
sb.append(pop()).append("\n");
break;
case "size":
sb.append(size()).append("\n");
break;
case "empty":
sb.append(empty()).append("\n");
break;
case "top":
sb.append(top()).append("\n");
break;
}
}
System.out.println(sb);
}
public static void push(int n) {
stack[size] = n;
size++;
}
public static int pop() {
if (size == 0) {
return -1;
} else {
int result = stack[size-1];
size--;
return result;
}
}
public static int size() {
return size;
}
public static int empty() {
if (size == 0) {
return 1;
} else {
return 0;
}
}
public static int top() {
if (size == 0) {
return -1;
} else {
return stack[size-1];
}
}
}
알게 된 점
- BufferedReader 사용법 - 꼭 메인 함수에 IOException 써주기, 줄 전체를 받기 때문에 공백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StringTonizer 필요
- StringBuilder 사용법
- Integer.ParseInt 와 같은 형변환 문법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8258: 큐 2 (JAVA) (0) | 2024.01.23 |
---|---|
[백준] 9012: 괄호 (JAVA) (2) | 2024.01.23 |
[백준] 1436: 영화감독 숌 (Python) (0) | 2023.11.10 |
[백준] 2798: 블랙잭 (Python) (0) | 2023.11.10 |
[백준] 2563: 색종이 (Python) (0) | 2023.11.10 |